티스토리 뷰
월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을 하게 되면 3년 동안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정부에서 기여금까지 지급해서
5000만 원이라는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이다.
2023년 6월에 출시예정이니 꼼꼼하게 살펴본다면 좋은 기회일 것이라고 확신한다.
1. 청년도약 계좌 만기 시 예상 수령금액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만기는 5년이다.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서 3~6%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이자율이 미정이지만(4.5~6.5% 예상) 은행의 이자 또한 받을 수 있다. 또 이자소득은 전액 비과세 혜택까지 있기 때문에 목돈을 모으려는 청년들에게는 놓칠 수 없는 기회가 될 것이다.
5년 저축 원금 | 은행이자 | 정부기여금 최대치 | 만기 예상 수령금액 | |
42,000,000원 | 5% | 5,337,500원 | 1,440,000원 | 48,777,500원 |
42,000,000원 | 6% | 6,405,000원 | 1,440,000원 | 49,845,500원 |
42,000,000원 | 7% | 7,425,000원 | 1,440,000원 | 50,865,000원 |
은행금리가 6%일 경우 매월 70만 원씩 5년 동안 저축을 하게 되면 원금은 4200만 원, 이자는 6,405,000원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정부가 주는 기여금까지 최대치로 받을 경우 만기에는 49,845,500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 정해진 금리구조는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다.
변동 금리는 3년 고정금리 시기에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에 더해 설정될 예정이고
3년을 초과하는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취급기관과 협의 중이다.
2. 가입조건
①나이: 만 19세 ~ 34세 청년
군복무 기간은 나이계산에서 빼고 계산한다. 군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되기 때문에 40세까지 가입이 가능하다.
②개인소득 :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총급여 | ★혜택★ |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 ㅇ ) 비과세 혜택 ( ㅇ ) |
6000만원이상 7500만원이하 | 정부기여금( x ) 비과세 혜택 ( o ) |
총급여가 6000만 원 이상이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하나 정부기여금은 받지 못하고 비과세혜택만 받을 수 있다.
③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가구원 수는 가입당시 기준으로 확정, 가구 소득 기준은 6월 가입자는 21년 소득 기준으로 7월 이후 소득확정 후 가입자는 22년 소득 기준을 가지고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80% |
1인 | 3,740,205원 |
2인 | 6,221,079원 |
3인 | 7,982,668원 |
4인 | 9,721,735원 |
5인 | 11,395,238원 |
6인 | 13,010,365원 |
★가입 제외대상
직전 3개년도 중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초과하여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 자는 가입불가하다.
3. 정부기여금
개인 총급여가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납입 한도(월 7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40~60만원)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 한도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
본인 납입 한도 (월) | 기여금 지급한도 (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 (월) |
2400만원 이하 | 70만원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만원 | |
7500만원이하 | - | - | - |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일 경우 40만 원씩 저축하게 되면 6% 매칭이 되어서 월 2만4천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다.
개인소득이 4800만 원 이하일 경우 60만 원씩 저축하게 되면 3.7% 매칭이 되어서 월 2만2천원의 기여금을 받게 된다.
그러나 개인소득이 7500만 원 이하라면 정부기여금은 받을 수 없다.
※정부기여금은 소득과 저축금액에 따라서 다르지만 5년 기준으로 최대 12만6000원 ~ 14만4000원까지 받을 수 있다.
4.중복가입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청년 복지 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등을 위한 재직 복지상품, 청년내일저축, 청년내일채움공제,지자체상품등과 중복 가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청년희망적금은 만기후 또는 중도해지후 가입이 가능하다.
청년도약계좌는 6월부터 신청이 가능해진다. 6월 한 달만 신청받는 것이 아니라 2023년 12월까지 신청이 가능하니 신청조건이 충족된다면 5년 후에 큰 도움이 되는 목돈이 되어 있을 것이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6월부터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할 이고 가구소득 심사와 개인소득 심사 모두
비대면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심사 결과는 신청 후 2~3주가 지나면 알 수 있다.
또 만기 5년이라는 긴 시간이기 때문에 가입일로부터 1년마다 개인소득을 기준으로 유지심사를 진행하게 된다.
유지심사를 통해서 기여금 지급여부 와 기여금 규모를 조정하게 된다.
또 저소득층에게 더 많은 지원을 줄 수 있도록 청년내일저축계좌와 같은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청년 내일 채움공제등과 같은 고용지원 상품은 청년도약계좌와 동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전에 긴급한 자금 수요가 생길 경우에도 계좌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예적금담보부대출 활성화등의 방안을 취급기관과 협의할 예정이다.
청년수당 매월 50만원씩 6개월동안!!
서울시가 '2023년 서울 청년수당' 사업을 실시했다. 청년수당 사업에 참여할 청년들은 3월 9일 오전 10시부터 3월 16일 오후 4시까지 1차 모집을 한다. 매월 50만원씩 6개월동안 금전적인 지원을 할
2.sweetnnsalty.com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 대학생 직장인 전입장려금 알아보기 (0) | 2023.03.29 |
---|---|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서울시 (0) | 2023.03.29 |
등유,LPG 난방비 지원 4월 7일 마감 (0) | 2023.03.15 |
청년수당 매월 50만원씩 6개월동안!! (0) | 2023.03.14 |
서울시 반려동물 의료비 지원사업 (0) | 2023.03.13 |